{ 잡가의 담당층과 장르적 성격 }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09 16:58
본문
Download : { 잡가의 담당층과 장르적 성격.hwp
이 이름은 17~19세기 조선 음악사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한 도시평민 가요로서 성악음악을 의미한 것이다. 잡가는 그의 담당계층의 계급적 성격에 따라 선행가사들보다 서정이 개방적이고 해학적이며 그의 선율은 더 유창해지고 자유로운 언어 사용의 형상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평민 출신의 직업적 예술인들은 가사체 시가를 노래부르는 과정에서 점차 그 변형태인 잡가를 짓기 처음 하면서 가사체와 사상정적, 음악적, 운율적 차이를 보이게 된 것이다. 그러나 잡가는 서민대상의 애환이 스며있는 시가라고 할 수 있다 조선 후기의 시가형태가 보여준 복잡다양한 발전과정은 바로 잡가를 발생시키게 되어 백성들의 사상미학적 수요에 대답하였다. 즉 17세기 후반기의 시대적 change(변화)에 따라 광범히 진출한 도시평민층은 시가생활에서 종점부터 내려오던 가곡, 가사, 시조의 정악만 가지고는 자기들의 사상 미학적 취미를 충족시킬 수 없었기 때문에 이러한 요구에 의해 잡가가 출현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러다 19세기 이후에 도시 서민들의 사회적 처지와 사상미학적 취미가 더욱 change(변화)되어가면서 잡가의 형식과 내용도 변하게 된다
Download : { 잡가의 담당층과 장르적 성격.hwp( 42 )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Ⅱ. 본론
{ 잡가의 담당층과 장르적 성격 }
{ 잡가의 담당층과 장르적 성격 }.
{ 잡가의 담당층과 장르적 성격 }
다. { 잡가의 담당층과 장르적 성격 }
이러한 잡가의 담당층은 누구이며, 그 장르적 성격이 어떠한 가를 아래에서 찾아보도록 하겠다. 가객이나, 서민들의 무지로 인하여 구전되는 사이에 시(詩)는 와전이 많았으며, 사류들은 한시를 상대로 하였지 잡가 따위에는 관심이 없어 문헌의 기록도 변변치 못하다.
{ 잡가의 담당층과 장르적 성격 } { 잡가의 담당층과 장르적 성격 } { 잡가의 담당층과 장르적 성격 }
순서




.
오늘 전해지고 있는 잡가들의 언어표현은 19세기 중엽까지에 다듬어진 것들이다.
{ 잡가의 담당층과 장르적 성격 }
.
1. 잡가의 담당층
{ 잡가의 담당층과 장르적 성격 }
설명
잡가는 앞서 언급하였듯이 조선 후기 시가형태가 복잡 다양화되면서 나타난 장르라 할 수 있다 가사가 분화되고 서민화되어 나타난 것을 잡가로 보는데는 다른 이견이 별로 없다. 바로 여기에 가사체 시가와 거기로부터 갈라져 나온 잡가의 차이점이 있다 잡가가 봉건 사회의 발전기가 아니라 붕괴기의 문학이며 그 담당계층이 양반 선비들이 아니라 중인, 광대, 창극인 등의 서민계층이며, 문집이나 시집에 제때에 수록된 것이 아니라 구전되어오다가 창곡집들에 오른 것이며, ‘강호사상‘
잡가란 서민들이 즐겨 부른 노래로 그 시(詩)와 곡(曲)은 직업적인 가객(歌客)들에 의하여 창작되었으며, 일반 서민들이 이를 애호하여 전승되었다. 잡가라는 이름은 조선의 문물제도를 높은 민족적 긍지를 가지고 노래를 하면서 양반들의 놀음판을 풍자하고 있는 가사의 마지막 시기의 작품인「한양가」에서 처음으로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