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과 사회 - 권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7-23 21:54
본문
Download : 개인과 사회 - 권도.hwp
개인과 사회 - 권도 개인과 사회 - 권도 개인과 사회 - 권도 개인과 사회 - 권도 개인과 사회 - 권도 개인과 사회 - 권도
개인과 사회 - 권도
따라서 권이란 움직임 가운데 어떤 물건의 가벼움과 무거움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균형을 잡도록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따 전통 유학자들은 이 권을 變化(변화)하는 현실 사회에서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합리적인 균형을 찾는 역할로 생각한다. 이철승, 「『논어』에 나타난 ‘권도(權道)’의 논리 구조와 의미」, II장, 한국중국(中國)학회, 2010, p.532
경(經)이 보편적 행위 규범 또는 행동 준칙이라면, 권(權)은 긴급 사태의 경우나 보편적 행위 규범들이 상충하여 하나의 규범을 선택할 수 없을 때, 상충하는 규범들의 경중과 선후를 분별하는 것이다. 7월에 제나라 군주인 경공(頃公)이 국좌(國佐)로 하여금 원루(袁婁)에서 동맹을 맺게 했다. 개인과 사회 - 권도
Download : 개인과 사회 - 권도.hwp( 46 )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개인과 사회 - 권도
.
개인과 사회 - 권도
한대의 학자들은 경과 권을 일정함(常)과 變化(변화)(變)의 관계로 파악하는데, 이는 『춘추공양전』의 논리에 의거한 것이다. 하지만 경과 권도의 관계에 대해 학자들은 시대에 따라 달리 해석하고 있따
.
2. 전통 유가의 경과 권도의 관계
.
서기 전 589년 6월에 노(魯)나라가 진(晋)·위(衛)·조(曹) 등과 동맹을 맺어 안(鞍)의 전투에서 제(齊)나라 군대를 대패시켰다. 저울은 어떤 물건의 가벼움이나 무거움을 활용하여 균형을 맞추는 역할을 한다.
순서
설명
개인과 사회 - 권도
개인과 사회 - 권도
개인과 사회 - 권도
.




1) 한대(漢代)
개인과 사회 - 권도
개인과 사회 - 권도
전통 유가에서는 경과 권도를 관련시켜 언급한다. 『춘추공양전』은 봉추보(逢丑父)의 일화를 들며 권도를 설명(explanation)한다. 그런데 당시에 동맹을 맺을 때에는 대부가 참여하는 것이 아니라, 군주가 직접 참여하는 것이 상식
전통 유가철학에서 권의 기본의미는 저울(鐘)이다. 이것은 저울이란 움직임 가운데 평형의 상태를 유지하여 균형을 맞추는 도구임을 의미한다. 전통의 동아시아 사회에서 사람들은 저울을 활용해 물건을 측정(measurement)할 때에 정지의 상태가 아니라 움직임의 상태에서 진행한다. 즉, 권이란 보다 크고 중요한 의리를 실현하기 위해 작은 의리를 버리거나 굽히는 것, 의리의 경중을 헤아려 변통하는 것이다. 『霞谷集』, 卷15, 孟子說 下, 諸章雜解.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