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리] 칸트의의 무론과 공리주의 / 칸트의 의 무주의와 공리주의 Ⅰ. 서론 예 부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2-16 05:57
본문
Download : [윤리] 칸트의의무론과공리주의.hwp
. 선의지(Good Will) 칸트는“선의지 이외에 아무런 제한 없이 선이라고 불려 질 수 있다고 간주될 만한 것은 지구상에나 지구 밖에나 아무것도 없다”라고 하며 인간의 의지에...
순서
[윤리] 칸트의의 무론과 공리주의 / 칸트의 의 무주의와 공리주의 Ⅰ. 서론 예 부터
다. 그것이 바로 의무에 기초한 절대론적 윤리설이다. 칸트의 윤리학이 그 대표적인 이론으로 그는 도덕적 행위를 위한 유일한 동기는 의무감이라고 보았다. 그들은 인간 행위의 궁극적인 목적을 행복이라고 보아 공리주의자에게 옳은 행위란 행위의 결과에 따라 판별되었다. 반면 공리주의는 어떤 행위의 옳음을 행위자의 의도에 기초해서가 아니라 그 행위의 결과에 따라 판단하는 윤리 이론이다. 그리고 어떤 행위나 규칙을 옳게 또는 책임적이게 하기 위해서는 그 결과의 선악 여부보다는 그 행위의 성격 자체에 보편적인 가치가 있기 때문에 결과가 어떤 쪽으로 가든 도덕적으로 옳은 것은 무조건 따라야 한다고 하였다. 즉, 인간의 선험적 능력성에 의해 도덕률의 인식이 가능하다고 하였다. 도덕이 모든 인간에게 가능하려면, 그것은 전적으로 의무감에 기초해야 한다는 것이다.
Download : [윤리] 칸트의의무론과공리주의.hwp( 34 )
![[윤리] 칸트의의무론과공리주의-1014_01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902/%5B%EC%9C%A4%EB%A6%AC%5D%20%EC%B9%B8%ED%8A%B8%EC%9D%98%EC%9D%98%EB%AC%B4%EB%A1%A0%EA%B3%BC%EA%B3%B5%EB%A6%AC%EC%A3%BC%EC%9D%98-1014_01_.gif)
![[윤리] 칸트의의무론과공리주의-1014_02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902/%5B%EC%9C%A4%EB%A6%AC%5D%20%EC%B9%B8%ED%8A%B8%EC%9D%98%EC%9D%98%EB%AC%B4%EB%A1%A0%EA%B3%BC%EA%B3%B5%EB%A6%AC%EC%A3%BC%EC%9D%98-1014_02_.gif)
![[윤리] 칸트의의무론과공리주의-1014_03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902/%5B%EC%9C%A4%EB%A6%AC%5D%20%EC%B9%B8%ED%8A%B8%EC%9D%98%EC%9D%98%EB%AC%B4%EB%A1%A0%EA%B3%BC%EA%B3%B5%EB%A6%AC%EC%A3%BC%EC%9D%98-1014_03_.gif)
![[윤리] 칸트의의무론과공리주의-1014_04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902/%5B%EC%9C%A4%EB%A6%AC%5D%20%EC%B9%B8%ED%8A%B8%EC%9D%98%EC%9D%98%EB%AC%B4%EB%A1%A0%EA%B3%BC%EA%B3%B5%EB%A6%AC%EC%A3%BC%EC%9D%98-1014_04_.gif)
![[윤리] 칸트의의무론과공리주의-1014_05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902/%5B%EC%9C%A4%EB%A6%AC%5D%20%EC%B9%B8%ED%8A%B8%EC%9D%98%EC%9D%98%EB%AC%B4%EB%A1%A0%EA%B3%BC%EA%B3%B5%EB%A6%AC%EC%A3%BC%EC%9D%98-1014_05_.gif)
설명
칸트의 의무주의와 공리주의 Ⅰ. 서론 예부터 많은 사상가들은 완전한 도덕...
윤리 칸트의의 무론과 공리주의 / 칸트의 의 무주의와 공리주의 Ⅰ. 서론 예 부터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칸트의 의무주의와 공리주의 Ⅰ. 서론 예부터 많은 사상가들은 완전한 도덕...
칸트의 의무주의와 공리주의 Ⅰ. 서론 예부터 많은 사상가들은 완전한 도덕을 위한 거울이 될 수 있는 절대적 윤리를 초경험적·초현실적 세계관에 근거해 밝히려고 하였다. 이는 우리가 어떤 일을 해야 할 의무, 또는 해서는 안 될 의무를 가진다고 보며 도덕적인 행위는 이 행위로 말미암아 어떤 결과가 생기든 상관없이 절대적으로 옳거나 그르다는 생각이다. 다시 말해서, 가장 많은 사람들에게 가장 큰 행복을 가져다주는 것은 옳은 행위라고 보았던 것이다. Ⅱ. 칸트의 의무주의(Deontology) 칸트는 고전적 의무론적 직관주의의 완성자로 18세기 사람이지만 현대학자들과 함께 다룰 만큼 위대하고 effect력 있는 철학자였다. 의무론에서 인간은 마땅히 행해야 할 규범인 의무를 알 수 있으며 이러한 의무를 지키지 않으면 인간의 소임을 다하지 못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행위의 결과를 고려하지 않고 동기를 중시하는 목적 그 자체를 추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