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과 인간행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9-25 07:23
본문
Download : 가족과 인간행동.hwp
정상가족과 역기능적 가족에 대해 살펴보면, 정상가족은 명확하고 안정된 경계선을 가지고 부모 하위체계의 강력한…(투비컨티뉴드 )
가족과,인간행동,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가족과 인간행동.hwp( 84 )
설명
가족과 인간행동
가족과 인간행동 , 가족과 인간행동인문사회레포트 , 가족과 인간행동


다. 심한 경우 의사소통이 경직되어 독립적이고 자율적으로 기능하는 characteristic(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가족의 보호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적 문제가 반드시기능 장애를 초래하는 것은 아니며, 그 characteristic(특성)이 극단적으로 나타나 융통성이 없는 경우에 역기능적 가족이 되는 것이다. 리즈(Lidz)는 가족체계가 인간행동에 미치는 influence(영향)에 상대하여 가족이 성격 형성의 생물학적 측면과 文化(culture) 적 측면을 연결하는 사회제도이며, 동시에 아동이 adaptation(적응) 하고 성장하는 데에 필요한 기본적인 수단, 제도, 역할 등을 배우게 되는 사회체계라고 하였다.순서
레포트/인문사회
가족과 인간행동
가족과 인간행동
가족은 인간행동과 성격의 형성에 결정적인 influence(영향)을 미치는 기초적인 환경으로써 건강하고 건전한 가족구성들이 전인적으로 건강하게 살아가도록 하는 하나의 체계로서 잘 기능한다. 그러나 역기능적인 가족의 경우는 가족성원들 사이에 유리된 경계선 쪽으로 기울어져 있게 되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일반적으로 어머니와 자녀 하위체계는 밀착되어 있으나 아버지와 자녀 하위체계는 유리된 경계선의 위치에 있는 경향이 있다
잘 밀착되어 있는 가족구조는 가족 성원들 사이의 경계선이 유연하고 개방적이기 때문에 가족구성원 서로가 거리감이 없으며 강한 소속감 등의 長點이 있는 반면, 한 가족 성원의 행동이 즉각적으로 다른 가족에게 influence(영향)을 주게 된다된다. 이러한 가족구성원들은 외부의 자극이나 변화에 성공적으로 잘 대처한다. 유리된 경계선의 가족은 가족 내의 경계가 심하게 분리되어 경계가 경직되어 있고 분명하며 상호작용이 없게 된다된다.
가족체계적 관점에서 미누친(Minuchin)은 가족구조의 characteristic(특성)을 밀착된 경계선과 유리된 경계선으로 구분하여 설명(explanation)하였는데 대부분의 가족들은 두 경계선을 양극으로 하는 연속선상의 어느 지점에 위치한다고 보았다. 다시 말하면, 대부분의 가족들은 두 경계선 중 어느 한쪽에 기울어져 있지 않는 경우가 일반적이라는 것이다.